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구 온난화가 부른 빙하 소멸과 화산 폭발 위험, 우리가 해야할 일은?

by laywrite 2025. 7. 8.
반응형

지구 온나화로 빙하가 더욱 빠르게 녹기 시작하면서 얼음에 눌려있던 빙하 아래 화산들이 폭발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 소멸이 전 세계 휴화산의 활동 가능성을 높이며 화산 폭발 위험까지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지질학적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원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악순환을 막기 위해 개인과 사회가 실천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빙하가 녹는 모슴

 

빙하는 단순한 얼음덩어리가 아닙니다

지구상 주요 빙하는 단순한 얼음 덩어리가 아니라, 지각과 지하 마그마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아래에 있던 화산들이 오랜 휴면 상태에서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 위스콘신대 매디슨 캠퍼스 연구팀은 골드슈미트 학회에서 “빙하 아래 수백 개의 휴화산들이 빙하 후퇴 후 폭발적으로 분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남극, 북미, 뉴질랜드, 러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전국적 위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빙하는 화산 위에 무게를 가해 지각을 압박함으로써 화산 분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빙하가 사라지면 압박이 줄어들고, 지하 마그마가 팽창해 폭발 압력이 높아지면서 화산 활동이 활성화됩니다. 이로 인해 향후 더 잦고 강력한 분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온실가스를 방출해 기후 변화 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 구조를 형성할 가능성이 큽니다.

 

화산이 폭발하는 모습

 

빙하 소멸 → 화산 폭발 위험 증대 메커니즘

1. 빙하 압력 해제 및 지각의 이완
칠레 안데스산맥 모초-초슈엔코 화산 주변 빙하가 녹으면서 지각 압력이 감소하자, 지하 깊이 침전된 마그마가 팽창하고 폭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것이 각종 암석 분석 및 연대 측정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2. 전 지구적 현상: 휴화산 잠재력 증가
빙하 아래 또는 근처에 존재하는 수백 개의 휴화산이 온난화로 인해 다시 활동을 재개할 수 있으며, 이는 과거 아이슬란드의 경우처럼 화산 활동이 갑자기 증가하는 역사적 사례가 있습니다.

3. 온실가스 방출 및 기후 악화 피드백
화산 분출은 대기 중에 이산화황과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를 방출해 단기적으로 기후 변동성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온난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온난화 악순환을 끊기 위한 우리의 실천

화산 폭발 위험 증대는 국가 단위의 대책뿐 아니라 개인의 일상 행동 변화에서도 시작해야 합니다.

 

✅ 온실가스 감소를 위한 개인 실천

  • 저탄소 교통 : 대중교통, 자전거, 도보 이용으로 저탄소 이동 실천
  • 에너지 절약 : 절전형 가전 사용과 에너지 효율 개선
  • 생활 속 소재 전환 : 일회용품 줄이기와 재활용 생활화

✅ 녹색 소비 및 친환경 투자

  • 재생에너지 선택 :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전기 사용
  • 친환경 금융 활용 : ESG 기준 친환경 금융상품 선택 및 투자

✅ 사회적 참여와 영향력 확장

  • 환경보호 정책 참여 : 기후정책 지지 및 관련 법안 참여
  • 지역사회 활동 : 나무심기, 지역 환경 캠페인 참여
  • 교육 및 정보 공유 : 소셜 미디어나 교육기관을 통한 기후 정보 공유

이처럼 개인의 작은 실천이 모이면 정책 변화를 촉구하고, 그 결과 온실가스 감축·빙하 보전·화산 활동 억제라는 선순환 효과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지구의 온도가 올라갈 수록 폭염과 빙하 소멸 등 우리가 사는 환경의 악영향이 늘어나고 결국에는 재난의 위험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당장 많은 것을 바꾸기는 어렵겠지만 작은 행동 하나라도 실천하면서 실천해 나가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